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및 색인 쉽게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확실한 성장을 만드는 마케팅 전문가 집단 킨다그로스입니다 :)
“내 웹사이트는 왜 검색해도 안 뜰까요?”
많은 분들이 웹사이트를 만들고 나서 이런 질문을 던지십니다.
분명히 잘 만든 홈페이지인데, 사람들은 들어오지 않고, 검색창에 도메인을 쳐도 결과가 보이지 않죠.
여기엔 단 하나의 이유가 있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웹사이트를 만들어 두는 것만으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검색엔진에 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과 그 이후의 색인 설정까지, 한 번에 안내드리겠습니다.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손쉽게 끝낼 수 있어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왜 해야 하나요?
사람들은 검색을 통해 정보를 찾습니다.
검색되지 않는 웹사이트는 아무리 완성도가 높아도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특히 네이버는 국내 검색 점유율이 압도적이기 때문에,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등록을 하면, 내 사이트가 네이버 검색 시스템에 ‘공식적으로 알려지게’ 되고, 이후 색인 과정을 통해 검색결과에 노출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방법
먼저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세요.
그다음 ‘서치어드바이저’를 검색하여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합니다.
메인화면의 URL 입력란에 내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합니다.
사이트 소유 확인 절차가 시작되는데요, 이때 메타태그 방식을 추천드립니다.
HTML 문서의 태그 안에 안내받은 메타태그를 복사해서 붙여 넣습니다.
다시 서치어드바이저로 돌아와 ‘소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TIP: HTML 파일 업로드 방식도 가능하지만, 메타태그 방식이 간편합니다.

이렇게 해서 기본적인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은 마무리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면 안 됩니다.
등록만으로는 검색결과에 바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네이버 검색엔진이 내 사이트를 제대로 인식하고,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색인 요청’을 해야 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색인 요청 방법

웹페이지 수집 요청
‘요청’ 메뉴 → ‘웹페이지 수집’ 항목으로 이동해 주세요. 등록한 도메인을 정확히 입력하고 ‘요청’ 버튼을 눌러줍니다.
요청 후 하루 정도가 지나면 수집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실패했다면 robots.txt 설정이나 사이트맵 설정을 다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RSS 제출
도메인 주소 뒤에 /rss 를 붙여 제출합니다. (예: https://example.com/rss)

사이트맵 제출
마찬가지로 주소 뒤에 /sitemap.xml 을 붙여 제출해 주세요.
robots.txt 설정도 중요합니다

robots.txt 설정하는 방법
‘검증’ 메뉴에서 robots.txt 항목을 클릭합니다.
하단의 간단 생성 탭에서 ‘모든 검색로봇(User-agent: *)’을 선택하고 Allow: / 코드를 복사합니다.
상단 입력란에 붙여넣고 수집 요청을 클릭하세요.

그리고 HTML 문서 내 영역에 아래 메타태그도 삽입해 주세요.
플러그인 사용 시 동일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니 편하신 방식으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트래픽 제한 및 수집 주기 설정
수집 제한: 설정하지 않음
수집 주기: 빠르게
이 설정을 통해 검색 로봇이 더 자주 내 사이트를 방문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부터 검색엔진 색인 요청, robots.txt 설정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어렵지 않지만, 생략해서는 안 되는 작업입니다.
사이트를 만든 목적이 무엇이든, 더 많은 사람에게 보이고, 더 많은 방문을 유도하고 싶다면 반드시 진행해 주세요.
혹시 이미 등록은 했지만 검색 노출이 잘 안 되신다면, 구조적인 문제나 SEO 세팅이 부족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방향을 점검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저희 킨다그로스가 함께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및 색인 쉽게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확실한 성장을 만드는 마케팅 전문가 집단 킨다그로스입니다 :)
“내 웹사이트는 왜 검색해도 안 뜰까요?”
많은 분들이 웹사이트를 만들고 나서 이런 질문을 던지십니다.
분명히 잘 만든 홈페이지인데, 사람들은 들어오지 않고, 검색창에 도메인을 쳐도 결과가 보이지 않죠.
여기엔 단 하나의 이유가 있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웹사이트를 만들어 두는 것만으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검색엔진에 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과 그 이후의 색인 설정까지, 한 번에 안내드리겠습니다.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손쉽게 끝낼 수 있어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왜 해야 하나요?
사람들은 검색을 통해 정보를 찾습니다.
검색되지 않는 웹사이트는 아무리 완성도가 높아도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특히 네이버는 국내 검색 점유율이 압도적이기 때문에,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등록을 하면, 내 사이트가 네이버 검색 시스템에 ‘공식적으로 알려지게’ 되고, 이후 색인 과정을 통해 검색결과에 노출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방법
먼저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세요.
그다음 ‘서치어드바이저’를 검색하여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합니다.
메인화면의 URL 입력란에 내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합니다.
사이트 소유 확인 절차가 시작되는데요, 이때 메타태그 방식을 추천드립니다.
HTML 문서의 태그 안에 안내받은 메타태그를 복사해서 붙여 넣습니다.
다시 서치어드바이저로 돌아와 ‘소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TIP: HTML 파일 업로드 방식도 가능하지만, 메타태그 방식이 간편합니다.
이렇게 해서 기본적인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은 마무리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면 안 됩니다.
등록만으로는 검색결과에 바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네이버 검색엔진이 내 사이트를 제대로 인식하고,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색인 요청’을 해야 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색인 요청 방법
웹페이지 수집 요청
‘요청’ 메뉴 → ‘웹페이지 수집’ 항목으로 이동해 주세요. 등록한 도메인을 정확히 입력하고 ‘요청’ 버튼을 눌러줍니다.
요청 후 하루 정도가 지나면 수집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실패했다면 robots.txt 설정이나 사이트맵 설정을 다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RSS 제출
도메인 주소 뒤에 /rss 를 붙여 제출합니다. (예: https://example.com/rss)
사이트맵 제출
마찬가지로 주소 뒤에 /sitemap.xml 을 붙여 제출해 주세요.
robots.txt 설정도 중요합니다

robots.txt 설정하는 방법
‘검증’ 메뉴에서 robots.txt 항목을 클릭합니다.
하단의 간단 생성 탭에서 ‘모든 검색로봇(User-agent: *)’을 선택하고 Allow: / 코드를 복사합니다.
상단 입력란에 붙여넣고 수집 요청을 클릭하세요.
그리고 HTML 문서 내 영역에 아래 메타태그도 삽입해 주세요.
플러그인 사용 시 동일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니 편하신 방식으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트래픽 제한 및 수집 주기 설정
수집 제한: 설정하지 않음
수집 주기: 빠르게
이 설정을 통해 검색 로봇이 더 자주 내 사이트를 방문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부터 검색엔진 색인 요청, robots.txt 설정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어렵지 않지만, 생략해서는 안 되는 작업입니다.
사이트를 만든 목적이 무엇이든, 더 많은 사람에게 보이고, 더 많은 방문을 유도하고 싶다면 반드시 진행해 주세요.
혹시 이미 등록은 했지만 검색 노출이 잘 안 되신다면, 구조적인 문제나 SEO 세팅이 부족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방향을 점검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사이트 등록, 저희 킨다그로스가 함께합니다.